옛날♬노래 썸네일형 리스트형 이난영-해조곡(海鳥曲/seabird song) https://youtu.be/yEDhOFA7rDs 해조곡 (海鳥曲/seabird song) 1940 태평양레코드사 발매 작사 이부풍 작곡 손목인 노래 이난영 [1] 갈매기 바다 위에 울지 말아요물항라 저고리에 눈물 젖는데저 멀리 수평선에 조각배 하나오늘도 아~가신 임은 아니 오시네[2] 쌍고동 목이 메게 울지 말아요굽도리 선창가에 안개 젖는데저 멀리 가물가물 등댓불 하나오늘도 아~ 우리임은 안 오시려나[3] 바람아 갈바람아 불지 말아요얼룩진 낭자 마음 애만 타는데저 멀리 사공님의 뱃노래 소리오늘도 아~ 우리님은 안 오시려나. #해조곡1937년도 말에 이부풍(이노홍) 작사, 손목인(양상포) 작곡의 노래로 내용은 떠나간 님을 그리워하는 내용이지만 노래의 숨은 뜻은 일제.. 더보기 찔레꽃(백난아)에 얽힌 사연 https://youtu.be/9FitMakaOAw ◆ 가사에 얽힌 에피소드해방 그리고 6.25 직후의 사회는 사상적인 갈등이 심할 때라월북 작사가의 작품 사용이 금지되어 개작의 바람이 한창이었다.그러나 은 월북 작사가의 작품이 아닌데도 개작된 특이한 케이스였다.그것은 환도 이후 작사자가 한동안 서울에 모습을 나타내지 않자,월북한 것으로 오해되어 이 노래의 작곡자인 김교성이작사가 반야월에게 개작을 의뢰했던 것이라고 하는데개작된 부분은1절에 나오는 '못잊을 동무야'라는 대목을 '못잊을 사람아'로바꿔 지금까지 불러지고 있는데, 그것은‘동무’ 라는 말이북한이 자주 쓰는 용어라 피하게 됐던 것이라고 한다. (김윤태)◆ ‘찔레꽃‘(김영일 작사, 김교성 작곡, 백난아 노래) 2절에 나오는 ‘철의객점’이라는 단어는.. 더보기 나는 가야지-한경애 (원곡 문정숙) https://youtu.be/CweKP9aFNLI 1959년 문정숙과 최무룡이 공연한 '꿈은 사라지고'의 주제가 김석야 작사 ,손석우 작곡 ,문정숙은 이 노래로 가수로도 데뷔하였고, 한국영화 주제곡 중 가장 명작으로 사랑받는 노래가 되었다. 문정숙은 떠나고 한경애의 목소리로 듣게되니 감회가 새롭고 세월은 덧없이 흘러 추억만 남아있네요. 더보기 문정숙-나는 가야지(1959) /영화 /꿈은 사라지고 https://youtu.be/80zzjIK6adk#문정숙 - 나는 가야지 (1959)#꿈은 사라지고 (1959) 감독: 노필 주연: 최무룡, 문정숙, 도금봉 더보기 타향살이-고복수 https://youtu.be/ESATpa446CI#타향살이 - #고복수 / 1934작사 손능인자곡 손목인편곡 복기호타향살이 몇 해 던가손 꼽아 헤어보니고향 떠난 십여 년에청춘만 늙고부평 같은 내 신세가혼자도 기막혀서창문 열고 바라보니하늘은 저 쪽고향 앞에 버드나무올 봄도 푸르련만버들 피리 꺾어 불던그 때는 옛날 더보기 물새우는 강 언덕 -백설희 / 1955 (가사) https://youtu.be/jHTEJCNmceA#물새우는 강 언덕 #백설희 / 1955 (가사) 더보기 설연휴에 듣기좋은 가요모음/연화 https://youtu.be/ZnRKFX8NOJg #설연휴에 듣기좋은 가요모음가수 연화1.고향무정 2.천리먼길 3.월악산 4.번지없는 주막5.너와 나의 고향 6.초가삼간 더보기 산비둘기-한세일(1973) https://youtu.be/wqIraaYHUYg#산비둘기(1973년 )/한세일 더보기 이전 1 2 3 4 ··· 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