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나누기

2025년 대한민국 65세이상 노인 인구수

 

 

 2025년 대한민국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2025년 1월 2일 공표(2024년 12월말 기준)된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자료의 대한민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10,256,782 명으로,

​2023년 12월말 대비 526,371명이 증가한 수치입니다.

65세 이상 인구 비율, 초고령 사회 진입

 

UN에서는 65세 이상 인구 비율 기준으로 (초)고령 사회를 구분하고 있습니다.

  • 7% 이상 : 고령화 사회
  • 14% 이상 : 고령 사회
  • 20% 이상 : 초고령 사회

 

2025년 1월 2일 공표(2024년 12월말 기준)된

행정안전부 주민등록인구현황 자료의 대한민국의 65세 이상 노인 인구 비율은 20.0 %입니다.

블로그에 글을 작성하면서 보니 20.0%가 넘어 자료를 찾아보니,

2024년 12월 23일 기준으로 한국이 초고령 사회에 진입하였다고 합니다.

초고령 사회로의 진입이 예상되었긴 하지만 2024년 연말에 진입이 되었는지는 모르고 있었습니다.

  • 7% 이상 : 고령화 사회 → 2000년
  • 14% 이상 : 고령 사회 → 2017년
  • 20% 이상 : 초고령 사회 → 2024년

참고로 한국은 2000년, 2017년에 각각 고령화 사회, 고령 사회에 진입하였습니다.

고령 사회에서 7년만에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것으로,

다른 국가들이 최소 10년 이상 소요된 것에 비해 빠르게 초고령 사회로 진입한 것이 특징입니다.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 전망

행정안전부 > 주민등록인구통계

참고로 2025년 1월 2일 공표(2024년 12월말 기준)된 자료에서 60세 이상 인구수를 살펴보면,

60~64세의 각 연령별 인구수는 평균 80만명 수준으로

- 64세 : 885,571명

- 63세 : 879,639명

- 62세 : 850,523명

- 61세 : 767,375명

- 60세 : 808,536명

이들이 65세 이상 연령대에 진입하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

65세 이상 노인 인구수는 지속적으로 증가할 것으로 보입니다.


(참고) 주민등록인구현황

행정안전부 > 주민등록인구통계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인구현황 자료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 링크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초고령 사회 진입에 따라 많은 자료들이 나오겠지만

노인 빈곤율/자살률 등 자룔를 찾아보면 부정인 자료들이 더욱 많았습니다.

이외에도 노동력 부족, 연금과 복지서비스 제공을 위한 지출 증가, 의료수요 증가, 이로 인한 세대갈등 등

사회 전반에 걸쳐 다양한 문제들이 발생할 것으로 보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