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장구♪가락

뱃노래(신민요) 가락장구 https://youtu.be/5vtgrPcDD70?t=174 뱃노래(신민요)가락장구/민요장구/가요반주장구/ 박수갈채 /음악실/정길채/010/5405/0300 더보기
장구 고르는 법과 관리법 장구 고르는 법 장구는 완성되어서 판매되는 악기가 아니다. 따라서 장구를 고를 때, 다른 모든 악기가 그러하겠지만 직접 악기 판매하는 곳에 가서 통과 가죽의 음색을 살피어 고르는 것이 좋다. 그러면 장구의 주재료인 통과 가죽의 고르는 법을 살펴보자. 장구통의 종류로는 색칠에 따.. 더보기
중중모리와 굿거리 장단의 차이점 [중중모리와 굿거리 장단의 차이점] 중중모리는 9박에 맺습니다. 반면 굿거리는 11박에 맺습니다. 물론 반드시 그렇지는 않습니다. 2장단, 3장단이후에 맺는경우도 많습니다.. 중중모리는 장단의 개념으로 중모리보다 약2배정도 빠른게 박자를 세어갑니다.. 중모리를 빠르게 연주하다 보니.. 더보기
국악기자료실 더보기
경기소리의 본질은 절대적 낙천성 경기소리의 본질은 절대적 낙천성 앞서 경기민요 주요 곡들에 대한 소개를 살펴보았다. 개별 곡들에 대한 소개에 이어 경기민요 전반에 흐르는 공통된 특징을 한 번 정리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듯하다. 여기서 말하는 경기민요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경기잡가(京畿雜歌)가 아닌 .. 더보기
장구가락(오봉산타령) 장구가락 ** 굿거리 ** 덩기덕 덩따라라~~쿵기덕 덩 따라라~~ 덩기덕 덩기덕 덩기덕 쿵 덩 ** 오봉산타령 ** 오봉산 꼭대기에 에루화 돌배 나무는 가지 가지 꺽어도 에루화 모양만 나누나 후렴) 에헤요~~어허~야~ 영산홍록에 봄바람 오봉산 꼭대기 에루화 돌배 나무는 가지가지 꺽어도 에루화.. 더보기
< 장구 장단 치는 법 > - 장단(長短)이란? - 악곡의 진행에서 강약의 세(勢)를 나타내는 마디의 기본형태를 말한다. 서양음악의 리듬(rhythm)과 같은 뜻이며 주로 국악에서 쓰는 말이다. 장구나 북 등 타악기를 일정한 길이의 리듬형(rhythmic pattern)으로 반복하여 쳐주는 일종의 반주역할을 한다. 장단을 치는 사람을 고수(鼓手)라고 하는데, 고수는 음악을 이끌어 나가는가 하면 연주자와 함께 음악을 이루기도 한다. 즉 음악이 휴지부(休止符)이거나 악구(樂句)의 끝이어서 쉬게 되면 장구는 잔가락을 넣어서 공백(空白)을 연결하고 음악이 한참 진행될 때는 장구가락을 던다. 대개 소리의 강약은 처음이 강하고 끝이 약한데 비하여 반주역인 장구는 끝을 강하게 쳐줌으로써 대조를 이룬다. 장구를 치는 .. 더보기
장구의 매는 방법 장구를 매는 방법을 알아봅시다. 장방를 멜 때에는 몸에 완전히 붙여 장구가 흔들리지 않게 매야 합니다. 또, 장구의 채편은 가슴의 한가운데에 오도록 해야 합니다. 1.끈의 한쪽을 채편쪽을 채편쪽에 맵니다. 2. 한쪽 끈을 장구의아래 쪽으로 보내 몸의 왼쪽 뒤에서 오른쪽 어깨로 올린 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