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 썸네일형 리스트형 국악기자료실 더보기 경기소리의 본질은 절대적 낙천성 경기소리의 본질은 절대적 낙천성 앞서 경기민요 주요 곡들에 대한 소개를 살펴보았다. 개별 곡들에 대한 소개에 이어 경기민요 전반에 흐르는 공통된 특징을 한 번 정리해보는 것도 의미가 있을 듯하다. 여기서 말하는 경기민요는 중요무형문화재로 지정된 경기잡가(京畿雜歌)가 아닌 .. 더보기 기타의 수명과 코드 기타는 바이올린같은 현악기보다 더 앞판이 얇고 더 크고 해서 수명은 짧다고 봐야겠지요. 그리고 각각의 기타마다의 수명은 다 달라서 평균을 낸다는것이 불가능하다고 봅니다. 다만 경험상으로 다음같은 말을 할수있겠군요, 연주한지 대략 10년정도는 지나야 그 기타가 제대로 소리가 .. 더보기 기타에서 주로 사용하는 Pattern 출처: 더보기 장구가락(오봉산타령) 장구가락 ** 굿거리 ** 덩기덕 덩따라라~~쿵기덕 덩 따라라~~ 덩기덕 덩기덕 덩기덕 쿵 덩 ** 오봉산타령 ** 오봉산 꼭대기에 에루화 돌배 나무는 가지 가지 꺽어도 에루화 모양만 나누나 후렴) 에헤요~~어허~야~ 영산홍록에 봄바람 오봉산 꼭대기 에루화 돌배 나무는 가지가지 꺽어도 에루화.. 더보기 < 장구 장단 치는 법 > - 장단(長短)이란? - 악곡의 진행에서 강약의 세(勢)를 나타내는 마디의 기본형태를 말한다. 서양음악의 리듬(rhythm)과 같은 뜻이며 주로 국악에서 쓰는 말이다. 장구나 북 등 타악기를 일정한 길이의 리듬형(rhythmic pattern)으로 반복하여 쳐주는 일종의 반주역할을 한다. 장단을 치는 사람을 고수(鼓手)라고 하는데, 고수는 음악을 이끌어 나가는가 하면 연주자와 함께 음악을 이루기도 한다. 즉 음악이 휴지부(休止符)이거나 악구(樂句)의 끝이어서 쉬게 되면 장구는 잔가락을 넣어서 공백(空白)을 연결하고 음악이 한참 진행될 때는 장구가락을 던다. 대개 소리의 강약은 처음이 강하고 끝이 약한데 비하여 반주역인 장구는 끝을 강하게 쳐줌으로써 대조를 이룬다. 장구를 치는 .. 더보기 오봉산타령/국악인 이춘희 *오봉산 타령(五峯山 打令) /이춘희 1. 오봉산 꼭대기 에루화 돌배 나무는 가지가지 꺽어도 에루화 모양만 나누나. ※ 에헤요 어허야 영산홍록(暎山紅錄)에 봄바람. 2. 오봉산 제일봉에 백학~이 춤추~고 단풍진~ 숲속에 새 울음도 처량타. ※ 에헤요 어허야 영산홍록(暎山紅錄)에 봄바람. ~~~~.. 더보기 물보라/최진희MR 물보라.mp3 다음검색 첨부된 파일 1개▼ 더보기 이전 1 ··· 367 368 369 370 371 372 373 ··· 45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