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전◈명구

[고전명구]말하는 사람 수고롭고침묵하는 이 편안하다

말하는 사람 수고롭고

침묵하는 이 편안하다

 

온갖 묘함이 나오는 근원 침묵만한 것이 없으리로다. 영악한 자 말이 많고 어수룩한 이 침묵한다

 

衆妙門, 無如默. 巧者語, 拙者默.

중묘문      무여묵       교자어        졸자묵


- 장유(張維, 1587~1638) 『계곡집(谿谷集)』 권2 「묵소명(默所銘)」

조선 중기의 문신인 장유는 침묵의 집, 묵소당을 짓고 이 명(銘)을 지었다. 그는 묵소명에 이어 묵소잠(默所箴)을 지어 다시 그 뜻을 나타내고자 했다.
“조급한 자 말이 많고 고요한 이 침묵하며, 말하는 사람 수고롭고 침묵하는 이 편안하네.”
 

   옛날의 현인들은 이렇듯 말을 삼가고 조심하는 것을 수양의 출발로 삼았다. 공자가 ‘인(仁)’이 무엇이냐는 물음에 “어진 이는 그 말을 삼간다고 했던 것”이나 인의 4가지 덕목의 하나로 ‘눌(訥)’을 꼽았던 것도 같은 이치다.


묵이 그렇고 눌이 그렇고, ‘졸(拙)’ 또한 그러하다. 장유가 벗인 민성휘(閔聖徽)의 별장에 써 준 용졸당기(用拙堂記)에서 졸(拙)에 대해 “사람들이 쓰다고 뱉는 것을 홀로 꿀꺽 삼키고, 사람들이 몰려갈 때 혼자서 등 돌리며, 이익을 좇는 일에는 겁내나 의리를 행함엔 용맹하다”고 한 것에서도 졸을 귀하게 여겼음을 알 수 있다.


묵과 눌과 졸을 단지 옛사람들의 덕목으로만 여겨야 할까. 말 잘하는 이들을 높이고 재주를 뽐내는 이들이 대접 받는 현실에서 낡은 것으로 여겨야 할까. 그러나 세태는 바뀌었지만 그 가치는 변함이 없다. 아니 오히려 말이 많고 재주를 과시하는 이들이 많으나 진정한 대화, 속이 견실한 이는 찾기 힘든 이 시대에 이들 덕목은 더욱 절실하게 다가온다.


대화는 말만으로 이뤄지지 않는다. 에디슨의 말에 빗대자면 대화는 1%의 말과 99%의 침묵으로 이뤄진다. 침묵의 시간은 상대의 말을 경청하며 ‘내 안의 나’를 돌아보는 시간이다. 침묵으로 대화는 좀 더 대화다워지고 깊어진다. 말과 재주와 역량을 안으로 쌓고 채울 때, 스스로를 서투른(拙) 이로 내세울 때 안으로 충실해지고 단단해진다.


묵과 눌과 졸의 역설이 거기에 있다. 이 셋은 소동파가 학문의 방법을 농사 짓는 일에 빗댄 글에서 말한 것처럼 두텁게 쌓아서 얇게 펼치게(후적이박발, 厚積而薄發) 해 준다. ‘해동의 제갈량’이라고까지 불렸던 양성지(梁誠之)나 선비의 기개를 보여준 박상(朴祥)이 모두 눌재(訥齋)라는 호를 썼던 것도, 조선 문학의 사대가(四大家)가 된 장유가 묵으로 말을 삼갔던 것도 넘치는 말과 큰 재주를 안으로 쌓고 다지려 한 게 아니었겠는가.


나아가려면 물러서야 하고 가지려면 놓아야 하듯, 말을 진정 잘하려면 침묵할 줄 알아야 하고 진정 큰 재주를 빛내려면 겉으로는 졸렬한 듯 감춰야 한다. 오늘날 더더욱 필요한 미덕들이다.

글쓴이:이명재
'한국고전종합DB' 활용 공모전 고전명구 부문 당선자

'고전◈명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위선을 경계하며  (0) 2024.02.14
눈과 편지  (0) 2024.02.07
분노에 대처하는 방법  (0) 2023.11.01
‘산비리속속리산(山非離俗俗離山)’을 찾아서  (0) 2023.10.12
가을을 기다리며  (0) 2023.08.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