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 살 버릇 여든 간다’를 한문으로 번역하면?
세 살 버릇 여든 간다. 三歲之習, 至于八十. 삼세지습, 지우팔십. - 정약용(丁若鏞, 1762~1836), 『여유당전서(與猶堂全書)』 「이담속찬(耳談續纂)」 뜬금없이 무슨 퀴즈인가 싶겠지만, 굳이 따져보면 다산의 ‘三歲之習, 至于八十.’만이 정답은 아니다. 섬세한 표현은 다르지만, 성호(星湖) 이익(李瀷, 1681~1763)의 『백언해(百諺解)』에는 ‘維兒時心, 八十猶存.[어렸을 적 마음이 여든에도 남아 있다.]’, 청장관(靑莊館) 이덕무(李德懋, 1741~1793)의 「열상방언(冽上方言)」에는 ‘三歲志, 八十至.[세 살 생각 여든 간다.]’로 번역하였다. 똑같은 한문 원문을 두고도 다양한 한글 번역이 있듯이, 우리의 고유한 속담을 한문으로 번역할 때 이처럼 여러 가지 표현이 있을 수 있다. 다산의 속..
더보기
간언과 그릇
간언과 그릇 신하가 말을 과감하게 하는 것은 신하의 이익이 아니라, 바로 나라의 복입니다. 蓋人臣之敢言, 非人臣之利, 乃國之福也. 개인신지감언, 비인신지리, 내국지복야. - 하위지(河緯地, 1412~1456), 『세종실록』 22년 9월 17일 이 말은 하위지가 1440년(세종22)에 올린 상소에 보인다. 하위지는 자(字)가 천장(天章), 또는 중장(仲章)이며, 호는 단계(丹溪), 본관은 진주(晉州)로, 군수(郡守) 하담(河澹)의 아들이다. 『연려실기술(燃藜室記述)』에 따르면 대책(對策)과 소장(疏章)에 능했다고 하며, 문집으로는 후손 하용익(河龍翼) 등이 편찬, 간행한 『단계유고(丹溪遺稿)』가 있다. 참고로 앞서 언급한 상소는 『단계유고』에 보이지 않는다. 이 상소를 올릴 당시 하위지는 29세로, 종6품..
더보기